13강. [Python]클래스
·
Python/Foundation
클래스란?파이썬은 객체 지향 언어로 클래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이며 내부에는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게 된다.이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클래스에 사용되는 용어들클래스에서는 많은 용어들이 사용되고 헷갈리기가 쉽다.그러므로 클래스 예제를 통해 용어들을 알아보도록 하자.class 붕어빵틀: def __init__(self, 동네, 종류, 가격): # 메서드 self.동네 = 동네 # 속성 self.종류 = 종류 self.가격 = 가격붕어빵 = 붕어빵틀("서울", "팥", 2000) # 객체 혹은 인스턴스 1. 객체와 인스턴스객체와 인스턴스는 거의 비슷한 의미이지만 어떻게 말하는가에 따라 용..
12강. [Python]람다
·
Python/Foundation
람다란?람다는 이전에 배운 함수와 비슷한 역할을 하며 함수명을 지어줄 필요가 없어 익명함수로 불린다.한 줄로 함수를 정의할 수 있어 간결하고 일회성으로 사용하기 좋다. 람다 사용 방법람다는 lambda 매개변수 : 반환값으로 만들 수 있다.# 람다 사용법# lambda 매개변수 : 반환값 add_lambda = lambda x, y : x + y# 람다 호출법add_lambda(2, 3)5위처럼 변수에 할당시켜 호출시킬 수도 있지만 람다는 할당 없이 호출시킬 수도 있다.# 별도의 할당 없이 람다 바로 호출y = 5(lambda x: x + y)(10)15  그렇다면 사용자 정의 함수와 비교해 보자.# 일반 함수로 정의def add(x, y): return x + y# 람다 함수로 정의add_lamb..
11강. [Python]함수
·
Python/Foundation
함수란?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한 print, input 등 괄호가 붙는 것을 함수라고 한다.필요에 따라 우리가 직접 함수를 만들 수도 있으며 이를 사용자 정의 함수라고 한다.함수를 만들면 불필요한 코드 반복을 줄일 수도 있고 여러모로 편하다. 사용자 정의 함수사용자 정의 함수는 기본적으로 def 함수명(매개변수)과 같은 형식으로 만들 수 있으며 조건문, 반복문과 같이뒤에 세미콜론을 붙여주며 밑에 코드들은 들여 쓰기를 해주며 뒤에 오는 매개변수는 함수를 호출했을 시 전달받을 값을 넣어준다.# 함수 만들기def add(n1, n2): # 함수 호출로부터 전달된 값이 n1, n2에 각각 저장된다. print(n1 + n2) # 저장된 값을 더하고 출력한다.add(3, 5) # 함수 호출은 함수명(값)로 해..
10강. [Python]반복문
·
Python/Foundation
반복문이란?어떠한 코드를 반복시키고 싶을 때 하나하나 쓰는 것은 매우 어렵다.그래서 반복문이 나오게 되었고 반목문은 특정한 코드들을 원하는 만큼 반복시켜 준다. 반복문의 종류반복문은 크게 for문과 while문으로 나뉜다.for문과 while문은 특정한 코드를 반복시킨다는 기능은 같지만 반복시키는 방법이 다르니 비교해 보면서 배워보도록 하자. 1. for문for문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for x in y의 형태로 작성되며 x에는 변수명, y에는 range함수나 리스트, 튜플 등이 들어간다.또한 조건문과 똑같이 for문의 끝에는 콜론을 써주며 반복시킬 코드는 들여 쓰기를 하여 코드블록을 구성한다.# for i in range()# 보통 반복시킬 횟수를 range함수의 괄호 안에 적어준다.for..
09강. [Python]조건문
·
Python/Foundation
조건문이란?어떠한 조건이 만족했을 때 코드를 실행하게 하는 것이다.if, elif, else를 사용하여 조건문을 만들 수 있으며 들여 쓰기와 코드블록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들여 쓰기와 코드블록에 대한 개념을 알고 싶으면 밑 링크의 글을 보고 오도록 하자. 01강. 파이썬의 기본 문법파이썬의 기본 문법파이썬에는 들여 쓰기, 주석 등 기본적인 문법, 개념들이 존재한다.이들을 알아야 다른 개념들도 이해하기 쉽다. 1. 들여쓰기들여 쓰기는 코드를 읽기 쉽도록 일정한 간격을c0de-log.tistory.com  if문간단하게 조건 하나만을 거는 것이다.조건을 만족하면 같은 코드블록에 있는 코드를 실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코드블록에 있는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if문의 조건 끝에는 콜론(:)을 붙이며 조건을 만족..
08강. [Python]세트
·
Python/Foundation
세트란?세트는 집합으로 집합 연산이 가능하고 요소 간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아 중복 제거 용도로도 사용된다.딕셔너리와 같이 인덱스 번호가 없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불가능하다. 세트의 기본 사용먼저 빈 세트를 만들어보자.딕셔너리와 똑같이 세트도 중괄호를 사용하며 빈 세트를 만들 시 중괄호로 만들면 딕셔너리가 생성되는 것만 조심하자.# 빈 세트 만들기se1 = {} # 잘못된 예 => 딕셔너리가 생성됨se2 = set() # 올바른 예print(se1, type(se1))print(se2, type(se2)){} set()  다음으로는 세트에 요소들을 넣어보자.세트는 요소 간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중복되는 요소는 삭제된다.# 세트 만들기se = {1, 1, 2, 3, 4, 5}print(se){1, ..
07강. [Python]딕셔너리
·
Python/Foundation
딕셔너리란?딕셔너리는 key와 value가 한쌍으로 들어가며 리스트와 튜플과 같이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리스트와 튜플은 시퀀스 자료형으로 인덱스 번호가 부여되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지만 딕셔너리는 불가능하다. 딕셔너리의 기본 사용# 빈 딕셔너리 생성하기dict1 = {}dict2 = dict()print(dict1, type(dict1))print(dict2, type(dict2)){} {}  그다음으로는 딕셔너리에 값을 넣어보자.딕셔너리는 key와 value가 콤마를 통해 한 쌍으로 들어간다.# 딕셔너리 생성di = {'name' : '홍길동', 'age' : 20, '주소' : '서울특별시'}print(di){'name': '홍길동', 'age': 20, '주소': '서울특별시'..
06강. [Python]튜플
·
Python/Foundation
튜플이란?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추가, 수정, 삭제가 되지 않는 읽기 전용 리스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튜플의 기본 사용먼저 빈 튜플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빈 튜플은 소괄호 또는 tuple함수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빈 튜플 생성하기tu1 = ()tu2 = tuple()print(tu1, type(tu1))print(tu2, type(tu2))() () 요소가 하나인 리스트는 그냥 생성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냥 생성하면 안 된다.다음은 요소가 하나인 튜플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요소가 하나인 튜플 생성tu1 = (1) # 잘못된 방법tu2 = (1,) # 올바른 방법print(tu1, type(tu1)) # 그냥 int형으로 생성됨print(tu2, type(tu2)) # 올바르게 튜플이 ..
05강. [Python]리스트
·
Python/Foundation
리스트란?리스트는 한 번에 여러 값을 넣을 수 있는 파이썬의 자료형이다.추가, 수정, 삭제가 가능하고 인덱싱, 슬라이싱이 가능하는 특징이 있다. 리스트의 기본 사용먼저 빈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빈 리스트는 대괄호 또는 list함수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빈 리스트 생성하기li1 = []li2 = list()print(li1, type(li1))print(li2, type(li2))[] []  그다음으로는 리스트 안에 값을 넣어보자.리스트는 밑 코드처럼 대괄호를 사용하며 대괄호 안에 콤마로 값을 구분하여 넣어준다.# 리스트에 값 넣기li1 = [1, 3.14, 'Hello', True]print(li1, type(li1))[1, 3.14, 'Hello', True]  만약 리스트에 일..
04강. [Python]연산자
·
Python/Foundation
연산자란?코딩을 할 때 수학적 계산, 논리 연산을 해야 될 때가 있다.파이썬은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해 이러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연산자의 종류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하는 만큼 연산자의 종류도 다양하다.다음은 연산자의 종류를 나열한 것이다. 1. 산술 연산자단순하게 수학적이 계산을 할 수 있는 연산자이다.# 산술 연산자add = 2 + 3 # 덧셈sub = 3 - 2 # 뺄셈mul = 2 * 3 # 곱셈div = 5 / 2 # 나눗셈quo = 23 // 7 # 몫rem = 7 % 4 # 나머지power = 2 ** 3 # 거듭제곱print(add)print(sub)print(mul)print(div)print(quo)print(rem)print(power)5162.5338 2.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