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P란?
ADSP는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의 줄임말로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최하는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시험이다.
ADSP는 비전공자, 전공자 누구나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이보다 상위 레벨인 ADP는 ADSP취득자 또는 전공자만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에 관심이 생겨 도전하게 되었고 합격했다.
데이터자격검정
데이터자격검정, 빅데이터분석기사, DAP, DAsP, SQLP, SQLD, ADP, ADsP
www.dataq.or.kr
시험 구성
ADSP는 총 세 가지 과목으로 나뉘며 시험 시간은 90분이다.
합격 기준은 60점 이상이고 과목마다 과락이 존재해서 40% 이상은 맞춰야 한다.
1. 데이터 이해[10문제]
이 과목에서는 데이터의 정의, DIKW피라미드 등 데이터의 정의에 대해 물어본다.
데이터 이해 과목과 데이터 분석 기획 과목은 암기 위주이며 문제는 헷갈리게 나오는 편이기 때문에 부담 가지지 말고 시험 볼 때 문제만 제대로 본다면 과락은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과락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모두 암기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흐름 정도는 익히고 가는 것이 좋다.
2. 데이터 분석 기획[10문제]
이 과목에서는 데이터 분석 방법, 거버넌스 수립 등 데이터 분석에 대한 문제들이 나온다.
실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비전공자라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데이터 이해 과목이랑 비슷하게 거의 암기 위주이며 문제도 어렵게 나오는 편은 아니다.
앞 글자만 따서 외우기, 흐름 파악하기 등 여러 방법을 통해 공부한다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과목이다.
3. 데이터 분석[30문제]
이 과목이 합격, 불합격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분량이 많다.
R로 짜여진 코드의 결과를 보고 분석하는 문제, 여러 머신러닝 모델에 대한 문제가 나오며 암기 + 이해를 요구한다.
하지만 문제 수가 많아서 12문제 이상만 맞추면 과락은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부담 가질 필요는 없다.
공부 방법
다음은 ADSP합격을 위한 나의 공부 방법이었다.
1. 학원 또는 참고서 활용
요즘 ADSP 강의를 하는 학원이 많으며 학원을 다니게 되면 질문, 자료 등에서 자유로워 쉽게 공부할 수 있다.하지만 독학보다는 돈이 많이 들며 강의 시간이 정해져 있기에 바쁘신 분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
학원 다니시는게 어려우신 분들에게는 참고서를 추천한다.참고서에는 개념, 기출문제 등이 있으며 누구에게 질문을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카페 같은 커뮤니티를 활용한다면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2. 유튜브 활용
유튜브에 ADSP관련 많은 강의들이 업로드되어 있다.또한 강의자료, 요약본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시는 분들도 있으니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유튜브 강의로 공부를 하는 것도 좋지만 학원 또는 참고서를 활용하여 완전히 공부하고 시험 전날쯤 복습한다는 느낌으로 강의를 시청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아답터님의 강의가 세 과목을 두 시간에 설명해주셔서 시험 전날 복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강의자료(요약본)도 판매하고 계셔서 이동할 때 틈틈이 볼 수 있어 편했다.
마무리
데이터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과목은 기출과 비슷하게 나오고 어렵지 않지만 데이터 분석 과목은 어떤 문제가 나올지 예측이 안되고 이전 과목들에 비해 난도가 높기 때문에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던 것과 같이 데이터 분석 과목은 문제 수가 많아 12문제 이상만 맞추면 과락은 아니기에 데이터 분석 과목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게 되면 데이터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과목에서 과락이 나올 수도 있다.
그래도 합격 기준이 높지 않은 시험이기 때문에 일주일 정도 열심히 한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
화이팅!!